만불사 홈 > 소식 > 국내 교계소식
   진흥원 ‘붓다와 다윈의 만남’ 세미나 성료 [문화] 글자크게글자작게

 

이한구·홍성욱·안성두·최재천 교수 주제발표

불교와 진화론, 통섭 가능성 모색

올해는 다윈이 탄생한 지 200년, 종의 기원이 발간된 지 150년이 되는 역사적인 해이다. 모든 생명체가 환경에 순응하면서 그 형태를 변화시킨다는 주장을 담은 종의 기원은 발간된 직후부터 서구사회를 엄청난 혼란에 빠트렸다. 다윈의 진화론은 기독교 성경에 나오는 “인간은 하나님의 모습은 본따 만들어졌다”는 주장을 한순간에 뒤덮어 버렸고, 신학계의 엄청난 반발을 가져왔다. 하지만 진화론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이후 철학, 역사, 정치, 사회, 종교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현대 제학문의 구도를 변화시켜 나갔다.

기독교와 진화론이 지난 150여 년간 지난한 갈등을 벌여온 것과는 대조적으로, 불교계에서는 다윈의 진화론이 ‘모든 대상은 고정된 것이 없다(諸行無常)’는 불교의 교리와 상당히 유사하다며 매우 긍정적인 시각으로 받아들여 왔다.

티베트의 지도자 달라이라마 또한 “나는 다윈주의자”라고 말할 정도로 불교계는 진화론에 대해 항상 열린 자세를 취해왔다. 게다가 최근에는 영국의 심리학자 폴 에크만은 “다윈이 그의 친구 조셉 후커로 부터 티베트 불교를 직간접적으로 접해왔고, 다윈의 사상에는 티베트 교리와 상당히 유사한 체계가 보인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이와 같은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미디어붓다와 월간 불교문화는 11월 27일 오후 2시 마포 다보빌딩 3층 법당에서 ‘붓다와 다윈의 만남’이라는 흥미로운 주제를 갖고 학술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날 학술세미나에는 학자 등 300여 명이 몰려 성황을 이루었다.

사회를 맡은 김규칠 상임이사는 “오늘 토론과 발표는 불교가 옳으냐 그르냐, 진화론이 옳으냐 그르냐는 문제를 논하는 자리가 아니다. 불교와 진화론에 대한 학자들의 생각 속에서 얻을 것이 무엇인지 알 것이다. 불교와 진화론의 만남 정리한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이사는 “학술적 논제나 과제가 많은 만큼, 시시비비가 많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논하는 자리는 아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이한구 성균관대 교수가 ‘진화론의 철학’을, 홍성욱 서울대 교수가 ‘진화론와 기독교, 그리고 그 관계가 불교에 말하는 것’을, 안성두 서울대 교수가 ‘진화론의 불교적 함의’를, 최재천 이화여대 교수가 ‘불교와 다위니즘-그 흥미로운 수렴’을 발표하고, 김성철 동국대 교수와 우희종 서울대 교수가 토론을 맡았다.

[요약] 이한구 교수 ‘진화론의 철학’

“결정론 부정… 변증법적 인식론 공통분모”

‘진화론의 철학’을 발표하는 이한구 교수는 진화론과 불교교리가 갖고 있는 유사점을 주로 논의했다.


이한구 교수는 “일반적으로 진화론은 철학과 관계없다고 생각하지만 진화라는 사상은 그리스 시대부터 있었던 철학이며, 다위의 진화론은 그 자체로 새로운 철학의 참축이었다”는 말로 발제를 시작했다.

이한구 교수는 “진화론 이론중 가장 중요한 자연선택은 모든 생명체는 실제 생존할 수 있는 자손보다 많이 생산해 각각의 개성 차이 갖고 나타나 환경에 가장 적합한 특질이 선택돼 자손을 번식해 종의 진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라며 “진화존재론 진화인식론 진화인류학이라는 영역에서 진화론의 사상이 논의될 수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먼저 진화존재론에 대해 설명했다. 이 교수는 “진화 존재론은 반본질주의, 비결정론, 무목적론을 기본특성으로 한다. 진화론은 본질주의를 부정하며 어떠한 결정론도 부정한다.”면서 “ 물리주의는 엄정한 결정론으로 이론에 의해 미래예측이 가능하며, 정확히 검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종교적 결정론과 형이상학적 결정론, 과학적 결정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또한 “종교적 결정론은 신의 전지전능한 성격과 결부되어 있고, 신과 신의 법칙에 자연과 자연의 법칙을 대체하면 종교적 결정론은 형이상학적 결정론이 된다. 과학적결정론은 형이상학적 결정론에 미래에 대한 예측의 가능성을 덧붙인 것”이라며 “진화론은 결정론적 세계를 부정한다. 진화의 미래는 불확실하며 예측이 허락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진화론의 함축하는 존재론적 의미는 존재론의 입장에서 생기론을 다시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새로운 생각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생기론은 자연선택을 배제할 필요가 없으며, 정향적 진화를 주장하지도 않는 것”이며 “진화의 이론을 모두 수용하면서도 생명의 힘을 궁극적 실재로 인정하는 것이며 이렇게 해야 무한한 종가의 증가와 변화무쌍한 유전자의 재조합도 설명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진화존재론 불교생명관 평등주의 일치

이 교수는 “진화 윤리학은 ‘적응도를 극대화하라’는 낮은 단계의 진화윤리학에서는 이타적인 행위도 이기적인 것으로 설명하려고 한다”면서 “순수한 이타주의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높은 단계의 진화윤리학이 필요하다. ‘다른 생명체의 적응도도 함께 배려하라’는 다윈의 사회적 본능은 이성이다. 이성은 진화의 산물로써 산출한다. 내가 속한 집단을 넘어 다른 생명체로까지 윤리를 보편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이것을 진화론적 이성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한구 교수는 “다윈의 진화론이 기독교 교리의 중심사상들 특히 세계가 불변한다는 믿음, 세계가 창조되었다는 믿음, 현명하고 자비로운 창조자에 의해 세계가 설계되었다는 믿음, 창조에 있어서 인간은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믿음을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본질주의, 결정론 그리고 목적론 같은 철학이론들을 철저히 잘못된 것으로 낙인찍었다”며 “이에 반해 진화론의 반본질주의, 비결정론, 무목적론은 불교와 상당히 유사한 논리체계를 갖고 있는 이론”이라고 설명했다.

이한구 성균관대 철학과 교수는 불교와 다윈 진화론의 인식론과 존재론적 유사성에 주목했다. 이 교수는 “진화론과 불교는 자연 사물이 일정 유형들로 이루어졌다는 본질주의와 세계는 한 방향으로 흘러간다는 결정론적 사고를 부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불교의 인식론은 부정의 논리학인 변증법에 기초한다. ‘산은 산이요, 산은 산이 아니며, 산은 산이 아닌 것이 아니다’라는 화두도 부정의 논리학을 함축한다. 이는 잘못된 견해를 계속 제거함으로써 높은 단계의 논리로 나아가는 진화론과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진화존재론과 불교의 생명관은 모든 생명이 근원에서 하나라는 생명일원주의와 모든 생명은 평등하다는 생명평등주의에서 일치한다. 생명평등주의는 생명일원주의에 근거하고 있다”면서 “불교의 윤회도 생명의 차별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요약] 홍성욱 교수 ‘진화론와 기독교, 그리고 그 관계가 불교에 말하는 것’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가 진화론과 같다

‘진화론와 기독교, 그리고 그 관계가 불교에 말하는 것’을 발표한 서울대 생명과학부 홍성욱 교수는 지난 200여 년 간 끊임없이 반목해온 서구에서의 진화론과 기독교의 관계를 고찰하고, 최근 일부 서구학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화론과 불교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를 소개했다.

홍성욱 교수는 “흔히 불교는 과학적 종교로 알려져 있는데, 불교는 세상을 창조한 신을 상정하지 않기 때문에, 창조주의 권능과 과학 사이에서 빚어지는 마찰이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라며 “또 불교에서는 인간과 동물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를 인정하고 있지 않으며, 윤회설과 연기설은 종의 경계가 시간을 두고 변하며 모든 종들을 ‘생명이 나무’로 연결된 존재로 보는 진화론과의 형식적인 유사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홍 교수는 이어 “불교도의 관점에서 보면,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지식과 이해에 대한 인간적 요구는 고통을 극복하고 행복을 찾으려는 깊은 열망에서 시작한다”며 “의식의 본성과 기원에 대한 믿을만한 이해가 있기 까지는 생명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과학적 이야기는 완성되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성욱 교수는 불교의 윤회설과 연기론(緣起論·모든 생명이 근원은 하나이며 연관돼 있다는 이론)의 유사성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부처님의 삼법인(三法印)인 제행무상(諸行無常) 일체개고(一切皆苦) 제법무아(諸法無我)가 진화론과 같다”며 “진화론의 모든 종이 변한다는 원칙은 제행무상, 진화의 과정은 먹고 먹히는 투쟁이라는 것은 일체개고, 인간에게만 고유한 영혼이 있지 않다는 것은 제법무아”라고 설명했다.

[요약] 안성두 교수 ‘진화론의 불교적 함의’

서울대 철학과 안성두 교수는 ‘진화론의 불교적 함의’를 통해 “불교의 교학적 입장이 진화론과 근본입장과 양립할 수 있는지, 또 양립한다면 양립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이며, 양립할 수 없다면 양립할 수 없는 점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안성두 교수는 생명관의 차이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안 교수는 “불교가 식(識·정신)을 생명의 본질적인 요소로 보는 데 반해, 진화론은 단순한 물리화학 법칙에 따라 단백질과 DNA로 생명의 탄생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불교가 현상을 설명하는 데 심신이원론(心身二元論)을 절대로 버릴 수 없는 점도 진화론과의 양립을 어렵게 만든다”고 밝혔다.

안성두 교수는 “불교는 주로 인간의 마음과정에 대한 변화과정에 관심을 갖고 있는 반면 진화론은 생명의 다양함이 어떤 과정을 거쳐 나왔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는 측면에서 어느 정도 평행선이 존재한다”며 “불교가 현존하는 생명체, 특히 동물의 먹고 먹히는 자연세계의 비정함에 대해 관찰하고 있을 뿐인 반면 진화론은 역으로 그 과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만 생명체, 특히 인간이 어떻게 의식과 자유의지를 갖고 있는지는 설명하지 못하며, 따라서 생물학적 본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나 가능성을 설명하는데 한계를 갖는다”고 지적했다.

안 교수는 이어 “진화론과 불교의 가장 큰 차이점은 불교가 현상세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심-신 이원론을 절대로 버릴 수 없다는 점이며, 또한 불교가 모든 존재의 구원을 목표로 하는 형이상학적 목표를 갖고 있다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요약] 최재천 교수의 ‘불교와 다위니즘-그 흥미로운 수렴’

불교와 진화론의 통섭 가능성 모색

최근 학계는 물론 일반사회에까지 자연과학과 철학의 ‘통섭’이라는 화두를 제시해온 최재천 이화여대 교수는 ‘불교와 다위니즘-그 흥미로운 수렴’이라는 논문을 통해 불교와 진화론의 통섭 가능성을 모색했다.

최 교수는 “불교의 교설과 다윈주의의 유사성은 엄청나게 많이 끌어낼 수 있지만, 그런 유사성은 모두 표상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며, 실제로 둘 사이에는 넘기 어려운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며 “특히 불교 무아론의 반유물론적 본질은 사후 자아 존속의 문제에 이르러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고 설명한다.

최 교수는 이어 “하지만 과학과 종교는 결코 하나로 융합(融合)할 수는 없어도 충분히 통섭(統攝)할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며 “유전자의 눈높이에서 바라보는 생명은 언뜻 섬뜩하고 허무해 보이지만 그를 통해 스스로가 철저하게 겸허해지는 경험을 하게 되고, 자연의 일부로 거듭나게 된다. 어쩌면 이것이 바로 불교의 기본 교설이 말하는 '무상함(anicca)'과 무아의 '공(空)'의 개념에 도달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한다”는 명제를 제시했다.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는 불교의 교설과 다윈주의의 유사성은 표상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최 교수는 “불교의 무아(無我)연기론은 업(業)과 보(報)는 있지만 업을 짓는 작자(作者)는 없다고 말하는데, 이는 부모의 유전자(DNA)로부터 몸이 만들어지는 엄연한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철저하게 유물론적 과학인 진화생물학은 이 지점에서 불교와 도저히 넘기 힘든 선을 그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는 불교의 교설과 다윈주의의 유사성은 표상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최 교수는 “불교의 무아(無我)연기론은 업(業)과 보(報)는 있지만 업을 짓는 작자(作者)는 없다고 말하는데, 이는 부모의 유전자(DNA)로부터 몸이 만들어지는 엄연한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철저하게 유물론적 과학인 진화생물학은 이 지점에서 불교와 도저히 넘기 힘든 선을 그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진흥원은 이번 학술심포지엄을 통해 “다윈의 진화론과 불교의 첫 만남은 일단 유사성과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고 자평했다. 진흥원은 “유사성 이면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발견했다는 것도 소득이라 할만하다. 불교계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불교와 과학과의 만남에 대한 관심만큼이나 이들 두 영역에 대한 탐구와 천착은 앞으로의 과제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흥원은 앞으로 “이번 심포지엄에 보여준 대중의 관심과 참여를 바탕으로 가장 현대 포교방법의 방향을 설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현욱 기자 mytrea70@yahoo.co.kr


※ 이 기사는 '불교저널'에서 가져왔습니다. [원문 보기]
2009-12-04 / 847
  
 
中國 日本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