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불사 홈 > 붓다의 메아리 > 좋은 글
보살은 생명을 해치지 않는다 [오늘의 법구]
 
보살은 정진바라밀다(精進波羅蜜多)1)에 안주(安住)2)하여, 초발심(初發心)3)으로부터 묘보리좌(妙菩提座)4)에 앉게 될 때까지 스스로 생명을 해치지 않으며, 남에게도 권해서 생명을 해치지 않게 하며, 생명 해치는 일을 칭찬하지 아니한다. - 대반야경(大般若經)각주1) 정진에 의해 뛰어난 공덕을 획득하는 것. 정진의 완성...
 
등록일: 2009-06-17 / 조회수: 3294
가장 무거운 죄 [오늘의 법구]
 
온갖 선품(善品, 선의 종류)을 닦고 배워서, 살생(殺生, 생명 있는 것을 죽이는 일. 이것은 가장 무거운 죄라 하여, 불교에서는 승속을 불문하고 엄금했다.)을 버리고 무기에 손대는 일이 없어야 한다. 모든 생물에게 다 자비심을 일으켜, 모기나 개미라 할지라도 해하는 마음을 내서는 안 된다. - 근본유부비나야율(根本有部毘...
 
등록일: 2009-06-16 / 조회수: 3311
악한 벗의 여섯 가지 해악 [오늘의 법구]
 
악한 벗은 여섯 가지 변화를 가져다 준다. 여섯 가지란 무엇인가? 취미(醉迷, 취해서 잘못을 저지르는 것)을 익히게 하며, 혼란(惛亂, 마음이 어둡고 어지러운 것)을 익히게 하며, 방종을 익히게 하며, 술집을 익히게 하며, 소인을 익히게 하며, 저속한 말을 익히게 함이다. 이런 악이 있고 보면 일은 전폐하게 되어서, 벌지...
 
등록일: 2009-06-15 / 조회수: 3262
더러움에 떨어지는 두 가지 집착 [오늘의 법구]
 
사문이 더러움에 떨어지는 데는 두 가지 구체적인 집착이 있으니, 첫째는 제 허물이 있으면서도 뉘우치려 안 함이요, 둘째는 도리어 남의 악을 생각함이다. - 유일니마보경(遺日尼摩寶經)출처 ; 불교대전, 한용운 편찬, 이원섭 역주, 현암사, p.763...
 
등록일: 2009-06-12 / 조회수: 3249
인욕의 힘 [오늘의 법구]
 
사문(沙門)이 부처님께 여쭈었다.“무엇이 힘이 많으며, 무엇이 가장 밝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인욕(忍辱)이야말로 힘이 많으니, 악을 품지 않는 까닭에 몸과 마음이 아울러 편안하고 건강할 수 있으며, 참는 사람은 악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부처님이 되느니라.” -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출처 ; 불교대전, 한용운 편찬...
 
등록일: 2009-06-11 / 조회수: 3169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中國 日本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