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불사 홈 > 소식 > 국내 교계소식
   전등사 석가삼불좌상 등 성보 12건 보물 지정예고 [문화] 글자크게글자작게

 

문화재청(청장 김찬)은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등 성보문화재 12건과 ‘‘청자 퇴화문두꺼비모양 벼루’ 등 문화재 4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17세기 전반에 전북, 충남 등지에서 활동하던 수연(守衍)이 수화승(首畵僧, 우두머리 조각승)으로 참여하여 1623년에 조성한 불상이다.

‘강화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지장보살상과 그 좌우에 무독귀왕, 도명존자, 시왕과 귀왕, 판관, 사자상, 동자상, 인왕상 등 명부전의 권속 총 31구의 상을 포함한다.

‘강화 청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예전부터 청련사의 주불로 예경(禮敬)되었던 것으로 몽골의 침입을 피해 강화도로 천도한 1232년에서 1270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출토유물 일괄’은 시기를 달리하여 왕실에서 발원 납입(納入)한 것으로 조선 시대 초기와 후기의 왕실 불교미술을 대표하는 작품들로 발원문과 명문도 수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계미명(癸未銘) 동종’은 전체적으로 푸른 녹이 슬어 있으나 주조상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몸통에 음각된 명문에 의해 계미년(1223년 추정) 죽주(竹州, 경기도 안성 부근)의 대혜원(大惠院) 종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은 임진왜란 이후 대형 소조불상이 유행하기 시작하던 시기의 작품으로 갸름한 난형(卵形)의 얼굴, 가늘고 긴 눈초리, 이마에서 콧등까지 편평하게 연결된 점, 돌출한 인중과 함께 두부에 비해 좁은 어깨, 평판형의 신체가 특징적이다.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 후기, 14세기에 크게 유행하여 전국적으로 확산했던 금동보살상의 전형을 보여주는 상이다.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조성자와 조성 시기(1610년)가 분명하다. 인일(仁日)이라는 새로운 조각승의 이름이 확인된다.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는 비로사나삼신불과 권속을 그린 괘불도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삼신불과 권속들을 함께 그렸지만 화면 상단의 삼신불을 큼직하게 배치하고 있다.

‘가평 현등사 동종’은 73.5cm의 아담한 크기로 종신(鍾身)을 여러 개의 구획선으로 나누고 그 안에 연잎무늬, 당초무늬, 파도무늬 등을 화려하게 새겨 넣어 장식을 강조한 범종이다.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언해 권9’는 당나라의 반자밀제가 번역하고 송나라 계환 스님이 해설한 것을 세종 31년(1449)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에 따라 번역하여 세조 7년(1461)에 완성한 것이다.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은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2, 40, 41 3첩과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16 1첩이다.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2, 40, 41 중에서 권40의 권미(卷尾)에 사성기(寫成記)가 있어 사경의 조성 경위를 알 수 있다.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16은 유려한 서체의 고려 사경(寫經)이다.

‘청자 퇴화문두꺼비모양 벼루’는 태안 대섬 해저에서 출토된 것으로 고려 시대에 보기 드문 청자 벼루 유물이다. 출토지와 제작 시기를 알 수 있고 희소성도 높으면서 장식기법, 상형 등 예술성도 뛰어난 유물로 평가된다.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 및 죽찰’은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에서 마도 2호선이라 명명된 고려 시대 선박에서 출토되었고, 제작 시기는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반으로 추정된다.

‘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 및 죽찰’은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과 마찬가지로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의 마도 2호선에서 출토되었다.

‘자치통감 권193~195’는 중국 송대 사마광(1019~1086)이 편찬한 중국통사이다. 조선 시대 세종의 명을 받들어 윤회, 권도, 설순 등이 역대 중요 주석서를 바탕으로 교정하고 가감해서 세종 18년(1436)에 총 294권을 찍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 중에 수렴된 각계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공식 지정할 예정이다.

<사진> 보물로 지정예고된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2012-10-31 / 4164
  
 
中國 日本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