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불사 홈 > 소식 > 국내 교계소식
   ‘한국의 유마’ 백봉 거사의 생생한 법문과 언행들 [문화] 글자크게글자작게

 

청봉 거사, 수행과정에서 보고 들은 스승의 가르침 기록

우리는 왜 큰 스승의 삶에 대해 궁금해하는 것일까? 석가모니 부처님은 연꽃을 들어 보임으로써 실상(實相)을 전하셨고, 유마 거사는 입을 열지 않으시고 둘이 아님[不二]의 법문을 하셨다. 이처럼 연꽃을 들어 보이거나 침묵으로써 법을 보일 수 있다면, 그분들의 행위는 그저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법을 보이는 것이며 실상을 전하는 것이다. 아침에 일어나 세수를 하시는 것, 옷을 갖춰 입으시는 것, 음식을 드시는 것, 걸음을 걸으시는 것, 글을 쓰시는 것, 일을 하시는 것 등 모든 행위가 모두 ‘그 자리’를 드러내는 소식이며 부처의 지혜가 드러나는 순간이다. 그러니 스승과 일상을 함께하거나 스승의 일상에 대해 보고 듣는 것이 바로 살아있는 수행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의 주인공이자 저자(청봉 전근홍)의 스승인 백봉 김기추(白峰 金基秋, 1908~1985) 거사는 20세기 ‘한국의 유마 거사’로 추앙받는 불교계의 큰 산맥이다. 그는 50세를 훌쩍 넘겨 불교에 입문했지만 용맹정진으로 단기간에 큰 깨달음을 얻었고, 이후 20여 년간을 속가(俗家)에 머물면서 거사풍(居士風) 불교로 후학지도와 중생교화에 힘쓴 탁월한 선지식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지식인들이 그를 추앙했으며, 그의 자비심에 넘치는 열정적인 설법은 많은 사람에게 인생의 존엄성을 알게 하였다. 그리하여 닫혀있던 좁은 마음의 문이 열리고 눈에서는 시비ㆍ분별의 비늘이 떨어졌으며 집착과 망상을 내려놓아 참다운 자유와 안심을 얻은 제자들이 무수했다.

백봉 거사는 《금강경강송》, 《유마경 대강론》, 《벽오동》, 《절대성과 상대성》, 그리고 15권의 《선문염송요론》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분의 설법을 녹음한 테이프가 300여 개나 되고 제자들은 그 테이프에서 추출한 내용으로 《도솔천에서 만납시다》와 《허공법문》, 《공겁인》이라는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40여 년간 스승의 유지를 꿋꿋이 이어온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는, 가장 감명 깊게 들었고 불교공부에 대한 확신을 주었던 스승의 설법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한사람이라도 바른 법을 알리고자 했던 선생님의 은혜에 보은하기 위해서 비롯됐다. 은혜를 갚는다 함은 스승의 뜻을 조금이나마 짐작하고 그 뜻을 받들어 행하고자 함이다.

스승의 뜻은, 오직 생사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나 스님들처럼 출가 할 수도 없고, 세속의 인연을 맺은 관계로 시간과 여건이 허락치 않아 길을 잃고 헤매는 재가 불자들에게 그들의 입처에 맞는 수단과 방편을 설법을 통해 제시해 줌으로써 스스로 생사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길을 제시해 주고자 하는데 있었다. 따라서 죽음이라는 문제에 부딪혀 절망적이었던 저자가 스승의 설법과 수행 방편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직접 듣고 느꼈던 법문 내용을 소개해 현재 그와 같은 과정을 겪고 있는 독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글을 쓰게 된 것이다.

그래서인지 책에서는 백봉 거사의 가르침의 핵심이 무엇인지 자세히, 반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그분이 어떻게 제자를 지도하셨는지, 어떤 행동을 하시고 어떤 수행을 하셨는지, 그리고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셨는지 등등 저자가 직접 보고 들은 진솔한 수행담이 감동을 자아내고 있다. 아울러 백봉 거사 문하 제자들의 깊은 불연(佛緣)과 간절한 발심, 생활을 병행해야 하는 재가 수행자의 각고의 노력, 스승의 인간적 면모와 제자들의 고뇌, 그리고 스승의 지도ㆍ점검에 대한 가감 없는 기록을 통해 독자들이 스스로의 공부를 점검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거사풍(居士風)의 새로운 화두 ‘새말귀’

백봉 거사는 “눈이란 기관을 통해서 보는 놈이 누구냐, 귀라는 기관을 통해서 듣는 놈이 누구냐?”며 “빛깔도 소리도 없는 바로 그 자리, 허공이 본바탕이고 법신”이라 강조하며 거사풍(居士風)의 수행가풍을 드날렸다.

백봉 거사는 경전이나 선어록에 대해 자구(字句) 해석이나 전통적인 해설보다는 철저히 자신의 살림살이를 토대로 종횡으로 막힘없이 설법했다. 특히 자신이 살았던 전통시대와는 패러다임이 전혀 다른 현대인들을 위해 불법의 정수를 알리기 위해 늘 고심하면서 법문을 베풀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이해에 머물던 공리(空理)의 방편을 보다 적극적이고 창조적으로 개진해서 ‘허공으로서의 나’를 모든 상대성을 넘어선 절대적이고 주체적인 근원으로 제시했으며, 이 ‘허공으로서의 나’ 즉, 공겁인(空劫人)이 근본적인 바탕이기 때문에 태어나고 죽는 것도 우리의 권리로서 주체적으로 하는 것이라고 설했다.

특히 백봉 거사는 이 ‘허공으로서의 나'를 근간으로 삼아서 전통적인 화두의 방편을 개혁하여 새로운 화두라는 뜻의 ‘새말귀’를 제창했다. 전통적인 화두 수행이 승려를 위한 것이라면 새말귀는 일상생활 속에서 바쁘게 일하는 재가 수행자를 위해 창안된 것이다. 즉 ‘허공성으로서의 나’를 철저히 이해하면 법을 먹든, 세수를 하든, 운전을 하든 일상생활 전부를 화두로 들 수 있다는 것이 새말귀의 이념인데, 이는 전통적인 화두를 대체했을 뿐 아니라 바쁜 현대인에게 적합한 새로운 수행 방법에 대한 토대를 제시했다.

아울러, 백봉 거사 시대의 변화에 부응해서 재가수행자에게 어울리는 계율과 수행 방법을 제시했다. ‘열 가지 하지 말아야 할 계율’이란 뜻을 가진 〈십물계(十勿戒)〉에서 “비록 아내와 자식이 있다 해도 쏠려보는데 떨어지지 말라”, “비록 가업을 이어가더라도 잘못된 이익을 탐하지 말라”, “비록 세상의 법도와 함께 해도 대도(大道)를 버리지 말라”, “비록 천하에 노닐면서도 법성(法性)을 무너뜨리지 말라”등 열 가지의 계율을 통해 재가에서 생활하는 거사로서 가져야 할 기본적인 자세를 설하기도 했다.

백봉 거사의 이러한 거사풍 수행풍토를 이어 온 보림회는 보림선원 서울선원과 부산선원, 가양선원(충북 청원)을 중심으로 매주 토요 철야정진과 동ㆍ하계 7일철야정진의 전통을 이어오며 재가 선풍(禪風)을 드날리고 있다.

비움과소통 / 360쪽 / 9,000원

출처 : 출판사 서평

2012-06-21 / 3128
  
 
中國 日本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