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불사 홈 > 소식 > 국내 교계소식
   경복궁 사정전 등 6개소 보물 지정 예고 [문화] 글자크게글자작게

 


문화재청(청장 김 찬)은 고궁의 건조물문화재 중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 가치가 크다고 인정된 경복궁 사정전, 수정전, 향원정과 창덕궁 금천교, 부용정, 낙선재를 각각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경복궁 사정전(景福宮 思政殿)'은 경복궁 창건 당시인 태조 4년(1395)에 지어졌으며, 명종 8년(1553)에 불탄 뒤 재건했다. 그 후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으로 인해 경복궁의 수많은 전각, 궁문과 함께 소실된 후 고종 4년(1867)에 근정전, 경회루, 수정전 등과 함께 중건되었다. 사정전은 고종 4년(1867)에 중건한 당시의 외관이 잘 남아있고, 건물의 위엄을 갖추기 위한 웅장한 공포(공包)짜임을 비롯한 건물양식의 독창성과 편전으로서의 기능을 위한 공간구성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경복궁 수정전(景福宮 修政殿)'은 세종 때에는 한글창제의 본산인 집현전, 세조 때에는 예문관으로도 사용되었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고종 4년(1867)에 중건되었다. 중건 당시에는 4면의 행각과 남쪽으로 외행각이 있었으나,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수정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철거되었다. 경복궁 근정전 서편의 외조공간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물로 다른 궁궐의 건물에서는 볼 수 없는 넓은 월대(月臺)를 갖춘 장대한 건물외관, 가구부재 등이 중건 당시의 모습을 현재까지도 잘 유지하고 있다.

'경복궁 향원정(景福宮 香遠亭)'은 고종 4년(1867)부터 고종 10년(1873)에 건청궁 앞에 연못을 파고 섬을 만들어 세운 2층 정자이다. 경복궁 후원의 아름다운 풍광 속에 안겨있는 경복궁의 상징적 대표 건물로 육각형 초석, 육각형 평면, 육모지붕 등 육각형의 공간을 계획적으로 구성하면서 섬세하고 아름답게 다듬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 비례감이 뛰어난 독특한 정자이다.

'창덕궁 금천교(昌德宮 錦川橋)'는 창덕궁이 창건되고 6년 뒤인 태종 11년(1411) 진선문 밖 어구에 설치되었는데, 그 후 숱한 화재와 전란에도 불구하고 창건 당시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다. 현존하는 궁궐 안 돌다리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궁궐의 위험을 보여주는 상징적 조각상과 아름다운 문양, 견고하고 장중한 축조 기술 등이 돋보이는 이중 홍예교(虹霓橋)이다.

'창덕궁 부용정(昌德宮 芙蓉亭)'은 '궁궐지'에 따르면 숙종 33년(1707)에 이곳에 택수재(澤水齋)를 지었는데, 정조 때에 이를 고쳐 짓고 이름을 '부용정'이라 바꾸었다고 한다. 부용정은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조형원리에 따라 조성한 부용지에 지은 정자이다. 열십(十)자 모양의 독특한 평면 형태, 공간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를 이루고 있어 건물의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한국정자건축의 대표적인 건물이다.

'창덕궁 낙선재(昌德宮 樂善齋)'는 헌종 13년(1847)에 왕비와 대왕대비를 위해 건립하여 사용하였으며, 조선왕조 마지막 왕인 영친왕(1963∼1970년)과 이방자여사(1966∼1989년)가 살았던 장소이기고 하다. 낙선재는 궁궐 내의 침전건축과는 달리 단청을 하지 않고 사대부주택형식으로 건축되었으나, 궁궐 침전형식이 응용되면서 다른 곳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다양한 문양의 장식이 특히 주목되며, 조선 후기 건축 장인(匠人)들의 축적된 기량을 엿볼 수 있는 건물이다.

보물지정 예고는 30일간 관보와 문화재청 홈페이지에 공고되며, 예고 후 6개월 이내에 문화재위원회에서 최종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지정예고 기간 동안 제출된 의견은 문화재위원회 지정 심의 시 검토할 예정이다.

 

2011-12-08 / 2568
  
 
中國 日本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