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불사 홈 > 소식 > 국내 교계소식
   치마불교가 아니라 사찰사유화 문중,가족주의가 문제 [문화] 글자크게글자작게

 

불교여성연구소 조승미 연구원이 지난 3일  ‘21세기 패미니즘 시대에 여성신행의 재조명’ 학술토론회에서 가족주의 유지를 위해 기복신앙을 ‘치마불교’로 비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사찰의 사유화와 문중권력, 권위주의적 운영방식의 사찰 운영을 극복해야 기복신앙을 해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승미 연구원은 치마불교를 기복신앙과 동일시하는 것은 “종교권력 시스템 지지기반인 가족주의 유지를 위해 기복신앙을 ‘치마불교’로 비난하는 것”이라며, “기복신앙의 주체를 여성불자 만으로 매도하고 이를 극복하는 형태로 ‘남성 신도 비율이 높은’이나, ‘거사불교’ 등을 제시하는 것 자체가 남성중심의 ‘근대적’”이라고 비판했다.

기복불교 논쟁에서 주요 실천자인 여성의 경험과 관점이 반영되지 않고, 기복신앙 양태 그 자체만으로 단죄하는 주장이 주류를 이루는 것은 기복불교의 논쟁이 애초부터 엘리트적 관점이라며 “엘리트주의의 태도는 여성의 현실을 계몽대상으로 하며, 의식 각성을 촉구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위치와 거리두기를 하는 것”이라며 “‘기복불교’ 논쟁에서 ‘여성’은 없었고, 남성 중심 시각에서 ‘치마’로 타자화 되어버렸다”고 보았다.

이어 조승미 연구원은 기복불교의 비판을 여성의 신앙문제, 치마불교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주의 극복문제로 전환할 것을 제안하며 “한국불교가 가족중심주의를 부처님의 가르침과 동일시하는 태도를 반성하는 것에서부터 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승미 연구원은 승가의 가족주의 문제로 사찰의 사유화, 문중 권력, 권위주의 운영방식을 지적했다.

그는 “사찰의 사유화는 승려 개인의 경제적 기반이 되기 때문에 공익적 활동으로의 전환이 더욱 제약된다”면서 “기복신앙을 통한 사찰 재정 수입문제를 극복하기는커녕 오히려 강화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작동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사찰의 문중 역시 승가의 새로운 가족주의 시스템으로 분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형공찰의 권력집중 역시 기복신앙을 부추긴다고 보았다.

그는 “교구본사도 특정 문도출신의 승려가 주지직을 순환 임명받고 있다”면서 “‘문도복지사업’이라는 용어까지 등장하는 것을 보면 문도나 문중은 하나의 가족주의로 운영됨을 알 수 있다”고 했다.

따라서 자기가 속한 집단 외에는 도덕적 관심을 두지 않는 폐쇄성,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재화를 집단 내에서만 공유하려는 배타성, 문중 내 문도 모두의 공익을 위한 공통체가 아닌 위계서열화로 이루어져 권력집중을 이룬 가부장성, 이 모든 것이 문중 가족주의가 비판되어야할 이유라고 조 연구원은 보았다.

사찰 재정의 폐쇄성 역시 기복신앙을 자초하는 문제로 지적했다. 신도나 일반에 대부분 공개되지 않는 폐쇄성이 기복신앙 극복을 막는다는 것이다.

조 연구원은 “기복신앙은 사찰 공동체의 인간관계와 기도행위 자체를 왜곡시킨다”면서 “주지스님 일변도의 권위주의를 깨고 재정을 공개한다면 사찰운영 관계자들은 지혜를 모아 기복을 ‘작복’이 될 수 있도록 전환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또 “기계적으로 주소와 이름을 속사포처럼 읽어주는 방식의 기도의례는 한국사찰에서 익숙한 충경이지만, 과열된 기복신앙이 본래의 축원방식을 왜곡시키고 있다”면서 “학승이 알바로 부전생활을 하고, 곤궁한 스님들이 사찰의 비정규직으로 고용된 모습은 양극화된 승가공동체, 위계 서열화된 사찰공동체가 기복신앙 시스템을 인간소외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승미 연구원은 “불교는 본래 가족을 넘어 진정한 공동체 형성의 열망을 가지고 출발한 종교가 아니냐”면서 “불교의 가족주의와 승가의 문중주의는 기복 불교보다 더 비불교적임을 드러내고, 탈가족주의를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2011-12-05 / 3229
  
 
中國 日本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