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사(주지 시몽 스님)가 10월 28일 오후 1시 30분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다시 보는 만암대종사’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세미나는 일제강점기를 ‘고불총림’의 깃발을 세운 만암 종헌 스님의 삶과 사상을 재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만암 대종사 재조명 작업은 스님 입적 58년만의 일로, 그동안 만암 스님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만암스님 관련 서적 역시 극히 적다.
세미나에선 5개의 주제로 발표가 이뤄지며, 미산 스님(중앙승가대 교수)이 사회를 맡는다.
제1주제는 ‘만암의 새애와 불교사상’으로 김상영 중앙승가대 교수가 발제하고 금강 스님(미황사)이 논평한다. 제2주제는 ‘만암의 수행과 백양사 강학전통’으로 김용태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가 발제하고, 이종수 동국대 연구초빙교수가 논평한다.
제3주제는 ‘만암의 선농일치 사상’으로 김광식 연구초빙교수가 발제하고 이치란 조계종 국제교류위원이 논평한다.
제4주제는 ‘만암의 교육활동’으로 한동민 수원시박물관 학예팀장이 발제하고 황인규 동국대 역사교육과 교수가 논평한다. 마지막 제5주제는 ‘만암의 교화활동’으로 원로의원 암조 스님이 발제한다.
세미나 기획에 참여한 김광식 교수(동국대)는 “고불총림의 개요 결성 성명문, 호남 고불회 취지서, 고불총림 강령, 청규 등에 만암 스님이 고불총림을 세운 이유가 잘 나타나 있다”며 “식민지불교 청산을 전제한 정화운동을 전개하면서 수행자의 본분을 지키려는 대종사의 혜안을 엿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시몽 스님도 “고불총림은 호남지방에서 수행정진하는 사찰대중이 함께 총림의 결사체로 구성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불교정화운동이 일어나기 8년 앞서서 이미 만암 스님은 정화의 이념과 실천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을 세밀히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에 백양사 재적·재직승 및 문도들은 만암 스님께서 높이 치켜 든 깃발 아래 그분이 구현하고자 했던 정신을 받을어 나가야 할 사명이 있다”며 “이번 세미나와 내년 2차 세미나 등을 통해 불교근현대사 속에서 만암 스님의 업적을 살펴 한국불교가 나아갈 방향을 새롭게 정립해 가야 한다”고 말했다.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만암 종헌 스님은 1875년 출생해 10살 때에 백양사로 출가했다. 1916년 백양사 주지가 되어 쓰러져 가던 백양사를 현재 규모로 다시 일으켰다.
만안 스님은 일제시대 백양사 청류암에서 광성의숙(廣成義塾)을 열었고 심상학교를 세워 일제강점기에도 일반인들을 교육했고, 1928년에는 현재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불교전수학교를 세워 초대 교장이 되었다. 또 정광중고등학교도 설립할 정도로 교육사업에 힘썼다.
조계종 초대 종정이 된 후에는 비구, 대처간의 갈등이 심화되던 시기에,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변화를 시도했다.
한평생 수행자로서의 의무를 다했으며 1975년 1월 10일 백양사에서 서옹스님을 비롯한 제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좌탈입망했다. 나이 81세 법랍 71년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