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불사 홈 > 소식 > 국내 교계소식
   “호국불교아닌 호법불교로 거듭나야” [문화] 글자크게글자작게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가 9일 개최한 ‘호국불교’ 세미나에서 호국불교에 대한 날선 비판이 이어졌다. 

먼저 김순석 한국국학진흥원 목판연구소장은 호국불교란 개념 자체가 불교가 이 땅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삼국시대 전제왕권과 결탁한 데에서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불교가 특정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는 세계성과 시공을 한정하지 않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호국불교는 너와 내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근본교리인 삼법인과 사성제에도 배치된다”며 호국불교란 개념의 불합리성을 주장했다.

김 연구원은 호국불교를 왜곡하고 악용한 사례로 친일활동에 적극적이었던 ‘황도불교’로서 역할을 자임했던 조선말 불교계와 1975년 조계종이 창설한 ‘호국승군단’을 예로 들었다.

김 연구원은 “설사 외부로부터 압력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승단은 단호히 맞서 투쟁해야 함에도 자발적으로 호국승군단이란 조직을 만들어 국가와 국민을 수호하겠다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일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호국불교는 역사적으로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많았으며, 불교의 근본교리에 어긋나며 것으로 불교의 본령이 아니며 호국불교는 ‘호법불교’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원은 호국불교보다는 불법을 지키는 호법불교로 거듭나기 위해 화합하는 불교계, 소통하는 불교, 사람을 키우는 불교, 현대사회에 적응할 프로그램 개발, 현장을 찾아 나서는 불교, 미래사회에 대한 준비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용태 동국대 교수는 ‘한국불교사의 ‘호국’ 사례의 검토와 호국불교 개념의 재고‘를 주제로 발표하며  전통적 의미에서 호국불교에서 국(國)은 국가나 민족이 아닌 왕이나 그에 준하는 국체이며 호국불교 담론이 등장한 일제시대 때 호국불교의 국은 일본의 왕을 상징한다고 주장했다.

또 해방이후에도 일제의 잔재를 정리하지 않고 일제시대의 개념을 그대로 받아들여오다 1970년대 국수적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체제하에서 호국불교의 전통이 각광받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김상영 중앙승가대 교수는 호국불교의 역사적 평가에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며 “호국불교의 개념조차 제대로 정립되지 못한 시점에서의 비판은 자칫 더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양대 전란기에 승군들이 ‘월계(越戒)’를 하면서까지 지켜내고자 했던 ‘국(國)’의 실체는 무엇이었는지 재고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서로 다른 성격으로 존재하고 있는 호국불교에 대한 이해와 조사가 미진한 상태에서 호국불교 용어를 폐기하자는 식의 표현은 위험성이 있다”며 “호국불교를 대처할 마땅한 용어도 현재 없으므로 호국불교와 관련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흥국사 주지 대오스님은 청중으로 세미나에 참여해 “나라가 위태로울 때 불교의 이름으로, 부처님 사상으로 국난극복에 동참했던 행위에 대해 과소평가한 면이 있다”며 “초조대장경을 통해 국난을 극복하고자한 것과 임진왜란 때 참혹하게 죽어가는 민초들의 희생을 막고 국가를 지키기 위해 나선 것이 잘못된 행위로 매도당해선 안 된다”말했다.

불교사회연구소는 이번 세미나에 이어 ‘한국불교사상 의승군의 역할과 의의’라는 주제로 9월 6일에 세미나를 개최한다.

2011-08-11 / 3542
  
 
中國 日本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