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불사 홈 > 소식 > 국내 교계소식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등 성보 7건 보물 지정 [문화] 글자크게글자작게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대혜보각선사서’ 등 7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새롭게 지정했다. 보물로 지정된 7건의 문화재는 ‘대혜보각선사서’를 비롯한 전적 6건, ‘봉화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1건 등이다.

대혜보각선사서’(보물 제1662호)는 중국 송나라의 대혜 종고(大慧 宗, 1088~1163)가 편지글을 모은 책으로 조선시대 강원에서 학습교재로 널리 사용된 책이다. 이 책은 경산 묘희암(妙喜庵) 송본(宋本)을 저본으로 고려 우왕 13년(1387)에 번각한 판본으로 현재 유일의 고려본이다. 조선 사찰본의 모본이 되었던 귀중한 판본이기 때문에 불교학 및 서지학 분야의 고판본 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승기신론의기 권상, 하’(보물 제1663호)는 당나라의 법장(法藏, 643∼712)이 《대승기신론》을 해석한 주석서로서 고려후기에 간행된 목판본으로 상하(上下) 2권 2책으로 고려본 판식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고려말 간본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는 유일본으로 불교사 및 판본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묘법연화경 권4∼7’(보물 제766-2호)은 요진의 구마라집이 번역하고 송나라 계환(戒環)의 주해본을 성달생(成達生)과 성개(成槪) 형제가 필서하여 간행한 판본을 저본으로 1448년(세종 30)에 간행한 목판본이며 이미 동일본이 보물 제766호(아단문고 소장)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권말에 있는 안평대군의 발문은 간행 경위와 그의 서체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에 조선전기 서예와 불교판본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 것이다.

‘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보물 제1665호)는 고려 후기 14세기 중기에 상지(橡紙)에 은니(銀泥)로 사성(寫成)한 화엄경(華嚴經) 80권 가운데 권4에 해당하는 잔권(殘卷) 1첩이다. 상지에 은니로 쓰여진 사경은 국내에 모두 10여 점이 전존되고 있으며, 이 중 화엄경은 2점이 지정되어 기림사와 국립중앙박물관에 수장(收藏)되어 있다.

한편, 봉화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보물 제1666호)은 현존하는 16세기 불상 중에서 종교성과 조각적 완성도를 두루 갖춘 보기 드문 작품으로 조선전기와 임진왜란 이후 전개되는 조선후기 불교조각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되었다.

<사진> 봉화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기사 출처 ;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0-10-28 / 3515
  
 
中國 日本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