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관 책임편집 『불교경전은 어떻게 전해졌을까』
지구상의 많은 종교 가운데 세계 4대 종교로 손꼽히는 것은 불교와 힌두고, 이슬람교, 기독교이다. 이 4대 종교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언어의 신성성(神聖性)에 관한 것이다. 기독교와 이슬람교, 힌두교는 각각 라틴어, 아랍어, 산스크리트어 등을 세속적인 언어와 구분되는 자신들만의 신성(神聖)을 담보하는 언어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과 달리 불교는 언어의 신성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지역·시대 따른 불교경전의 다양한 언어·문자에 대한 상세 안내 불교에서 언어와 문자는 인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실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물론 특정 언어와 문자가 특별한 수행에서 일정한 의미를 가졌던 경향도 있었지만, 불교를 창시한 석가모니 부처님이 천명한 근본적인 입장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불교도에게 말이나 글은 부처님의 가르침 즉 불교(佛敎)를 전달하는 여러 가지 수단 가운데 하나일 뿐이었다.
다른 종교와는 다른 자유롭고 관대한 태도는 불교가 세계의 여러 지역에 전파될 때 매우 큰 장점이 되었다. 누구에게나 그 지역의 보통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나 문자로 불교를 전달할 수 있었다. 불교경전은 여러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그 지역의 다양한 언어와 문자로 옮겨졌고, 동시에 다양한 장르의 불전문학이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이런 점 때문에 현대에 불교를 공부하는 일반인이나 불교학자들은 불교가 지나온 대륙 위에 펼쳐진 광활한 언어의 숲을 헤쳐 나가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끝이 보이지 않는 언어의 숲을 헤쳐가기 위한 하나의 지도로서 현재까지 어떤 지역의 언어와 문자로 불교경전이 전해지고 있는지 그 대강의 현황을 살펴보는 개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기존 연구서에서 이와 같은 내용이 일부 제시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였다.
1930년대까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었던 불경 단편들이 지금까지 대부분 불교의 언어와 문자를 이해하는 최전선의 자료였다. 그러나 최근 10여 년 동안 가히 폭발적이라고 할 만큼 다량의 새로운 사본들이 등장하였다. 아마도 아프가니스탄에서 일어났던 정치적 변동의 결과로 생각된다.
이 새로운 사본들, 즉 스코이엔 콜렉션이나 영국국립도서관의 간다라 사본들, 파키스탄의 바주르 사본들은 20세기 초에 발견된 사본들보다 훨씬 오래된 사본들이 많고 그 분량도 상당하기 때문에 불교학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새로운 사본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불교의 전파나 불전 번역의 역사가 다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살펴보면, 불교경전을 담고 있는 언어와 문자에 대한 이해는 불교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기초지식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서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이 일부 제시되었을 뿐이었다. 최신 연구동향과 함께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을 통해서 불교경전의 역사에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 책이 저술되었다.
각 분야의 전공자 7명이 불교경전을 표현했던 각 시대와 지역의 언어와 문자에 대해 그 변천사와 최신 연구결과까지 체계적이며 상세하게 서술한 10편의 글을 한 곳에 모았다.
7명의 저명한 불교학자들이 소개하는 불교경전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
먼저 심재관은 인도의 구전문화에서 처음 어떻게 문자가 등장했는가를 설명하였다. 베다의 무문자(無文字) 시대를 지나서 브라흐미 문자와 카로슈티가 등장한 후, 이들 문자가 지역을 달리해 어떻게 발달했는지를 간단히 정리하였다. 인도 북서부에 한정되어 있던 카로슈티 문자와 달리 브라흐미 문자가 인도에서 지역과 시대에 따라 발전하게 되는 과정을 스케치했다.
이필원은 남전과 북전의 각 전승에서 달리 나타나는 결집의 역사를 소개하고 제4차 결집까지의 과정을 정리했다. 스리랑카의 상좌부 전통에 따르면 제4차 결집이 이루어진 B.C. 1세기경이 되어서야 구전되던 불경이 비로소 문자로 기록되는 계기를 맞게 되고, 북전 전승에 따르면 A.D. 1세기경, 간다라 지역에서 카니쉬카 왕의 제4차 결집을 계기로 대규모의 경전 제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대규모의 경전 필사가 이루어졌는지는 불확실해도, 최근에 발견된 간다리 사본이 A.D. 1~2세기경까지 소급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충분히 개연성이 있는 사실이다.
이필원은 계속해서 남전의 상좌부와 북전의 설일체유부의 경전을 소개하며 이를 기록한 언어와 문자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다. 대부분 팔리어로 기록된 상좌부의 경전들은 A.D. 18~19세기에 필사된 것인 반면, 간다라와 카슈미르 지역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추측되는 설일체유부의 경전들은 산스크리트와 한문, 티베트어로 남아 있다. 이 문헌들의 단편은 20세기 초와 최근의 여러 사본 발굴 속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박영길은 상좌부의 경전과 언어에 대한 이해를 보충하기 위해서 동남아시아 지역의 불경 언어와 문자가 어떻게 구분되는지 설명했다. 이 지역의 불교사를 포함해서 언어와 문자의 발달사는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소외되고 취약한 부분이다. 이 글에서는 스리랑카, 태국,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등의 간략한 불교사뿐만 아니라 브라흐미 문자와 남인도 문자에서 영향을 받은 동남아시아 문자들의 발달과 더불어, 각국의 불교 삼장이 형성된 과정을 간략히 요약하였다.
불교가 인도대륙의 북쪽으로 전파된 경로를 따라서, 중앙아시아 지역의 불교 언어와 문자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일람이 필요하다. 심재관은 박트리아어와 간다리어, 코탄어, 소그드어로 남겨진 불교 사본들의 발견과 그로 인해 제기된 새로운 불교연구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 지역의 언어와 문자는 20세기초부터 최근에 이르는 사본 발견 과정을 통해 불교학 연구의 중요한 과제로 등장했다. 이와 더불어 워싱턴 대학의 간다리 문헌연구, 스코이엔 콜렉션, 바주르 콜렉션 등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 대해서도 간략히 설명했다.
안성두는 티베트 언어와 문자의 기원, 불경번역사 등에 대해 간단하지만 매우 신뢰할만한 입문을 제공하였다. 티베트의 언어와 문자에 대한 이해는 티베트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던 산스크리트 불전의 번역사와 함께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티베트의 불전 번역 과정에서 산스크리트어를 충실히 옮기기 위해 시도했던 언어학적 변형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한문번역과 대조되는 이러한 티베트 역경사의 특징을 짚고 있다.
권탄준은 방대한 중국의 역경사를 전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초기 한역과정의 역장체제나 당시 번역의 기준에 대한 소개, 그리고 역경을 계기로 빚어지는 중국내 여러 종파의 등장에 대한 설명은 이 글을 더욱 값지게 만들었다.
최종석은 먼저 불교의 전래 이후 등장한 필사와 인쇄문화의 발달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요약하였다. 사경과 목판인쇄술, 대장경판 제작, 금속활자인쇄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부각시켰다. 여기에 한글의 창제원리뿐만 아니라 이후 간경도감의 설치를 통해 이루어진 한글본 불전의 출현을 설명하였다.
김성철은 중관과 유식의 중요한 불경의 사본들이 현재 우리들에게 어떠한 과정을 통해 전해지게 되었는가를 보여주었다. 더불어 20세기에 이루어진 중요한 불교 사본의 발견과 그에 대한 비판교정본의 제작과정을 흥미롭게 밝히고 있는데, 우리가 접하고 있는 산스크리트본의 『프라산나파다』, 『해심밀경』, 『유가사지론』, 『유식삼십송』의 출판과 연구 배경이 간단히 그려지고 있다.
심재관은 『법화경』을 사례로 삼아 간략한 연구사와 함께 한 권의 출판물로 등장하기까지 어떠한 사본들을 통해 이루어졌는가를 설명하였다. 『법화경』은 가장 넓은 지역에 퍼져 있는 불경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에 『법화경』 사본의 다양한 언어와 문자가 불교의 전파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이 책은 불교경전을 표현하는 언어와 문자에 대한 상세하고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현재 세계의 불교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성과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불광출판부, 248쪽, 1만 8,000원>
출처 : 불광출판사 신간 리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