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유스님 (범어사 조실)
‘선(禪)’은 불교에서만 나오는 말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 미얀마, 일본에서 모두‘선’이란 말을 쓰고 수행을 하고 있어요. 여러 강들이 궁극에는 바다로 흘러 들어가듯 각 나라마다 수행방법은 틀리지만 목적은 같습니다. 그렇다면 선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깨달은 자를 부처님이라고 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인생무상 생로병사를 이미 출가하기 전에 목격했고, 생사가 없이 무엇이 있지 않겠는가 하고 출가해서 결국 깨달음을 성취했답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깨달았다는 것입니까? 그것은 여러분들이 경전과 여러 책자를 통해서 말로서는 너무나 잘 알고 있어요‘. 자기 마음을 깨달았다’는 말 아닙니까?
부처님께서는 일체 중생, 미물, 곤충까지도 부처님과 동일한 불성, 즉 마음을 갖추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 마음이야말로 영원히 불생불멸(不生不滅)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차를 마시고 밥을 먹고 일하고 있는 속에서 조금도 자신의 마음을 떠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선지식의 말 한마디를 듣고 각자가 사로잡혀 있는 생각에서 해방된다면 부처님과 똑같은 깨달음의 지혜가 열린답니다.
시대가 흐르고 사람들의 생각이 많이 복잡해졌습니다. 이런 책, 저런 책을 많이 보고 이 법문, 저 법문을 많이 듣다 보니 아는 것이 너무 많아졌습니다. 사량분별의 구름이 너무 두껍게 끼어있는 것입니다. 말을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에 할 수 없이“자네가 말하고 있는 그것이 무엇이냐?(시심마 是甚?)”하고 되물어 보게 되었습니다. 그것을 우리나라에서는 간화선, 화두공안이라고 합니다.
자기의 마음이라는 것이 어떤 특정한 수행을 통해서만 깨칠 수 있겠어요? 반드시 어떤 수행을 통해서 깨쳐지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했습니다. 이런 얘기가 있습니다.
좋은 인연을 만나고 싶어 하는 한 여자가 부모의 권유로 불상을 모시고 밤낮 없이 법화경, 관음경을 독경하고, 부처님께 기도 했어요.
하루는 불상을 집어던지고 경전도 깔고 앉아“반야가 반야를 밟고 있는데 무슨 상관이냐, 깊은 밤 까마귀 소리를 들으니 나기 전에 어머니가 그립다”라고 했답니다. 그 뒤 그 여자는 백운 선사가 일러주는 말을 듣고 일주일 만에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가만히 있어서는 깨달아지지가 않습니다. 몸부림을 쳐야하고 고통을 받아야 합니다. 염불도 좋고, 관법도 좋습니다. 한 가지에 매달려서 지극 정성으로 열심히 하다보면 자기 모습이 보인다는 거지요.
《법화경》에 거지 아이가 자기 집은 부자였는데 집을 뛰쳐 나가서 거지가 된 얘기가 나오지요? 그럼 본래 부자집 아들인데 그 사실을잊어버려서 거지행세를 하고 있는 아이가 다시 부자집 아들이 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겠어요?
내가 원래 부자집 아들이었다고 알아차리면 되는 것이지요. 다른 집 아이가 수행을 한다고 그 집 아들이 되는 것도 아니니 말입니다. 여기서‘내가 도대체 왜 이러는가, 내가 도대체 무엇인가?’ 라고 질문하는 것이 자기를 돌아보는 가장 빠른 길입니다. 그것이 화두공안이라는 말입니다. 화두공안을 열심히 하다보면 깨달음이라는 것은 닦는데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됩니다. 물을 찾으려고 애를 썼기 때문에 물속에 들어온 것이 아니라 그것과는 관계없이 본래부터 물속에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깨달음이라는 것은 닦는데 있지 않다’라는 말은 일반 사람들이 처음부터 공부도 하지 않고 방일하게 생활하는 것과는 다른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