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7월 대토론회가 20일(수)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국제회의장에서 “출가와 재가의 역할을 찾다”란 주제로 열렸다.
이날 토론회의 사회는 최재천 법무법인 한강 대표변호사가 맡았으며, 조계종 중앙종회의원 일문스님이 발제자로, 조계종 중앙종회 사무처장 성효스님, 윤남진 NGO리서치 소장, 조기룡 동국대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해 열린 토론을 전개했다.
일문스님은 “경전 상에 나타난 출가자와 재가자의 관계는 재시(財施)와 법시(法施)를 통한 불가분의 관계였으나,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시대와 환경에 따라 변화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억불정책을 거친 현재 조계종 사찰에서의 재가자는 사찰과 스님들에게 보시하는 존재이고 불교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의식이 미약하다.”며 “앞으로는 스님들이 결정권을 가지고 불교계의 모든 일을 해나가는 방식을 탈피하여, 종단의 울타리 밖에 있는 재가자들이 종단의 울타리 안에서 일정한 지위를 갖고 역할을 해야한다.”고 새로운 출가와 재가의 역할을 제시했다.
또한 출가와 재가가 올바른 역할분담을 통하여 부처님 법을 이 땅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회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식견을 갖춘 재가자의 참여와 출가,재가 모두가 원력과 이를 추진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 또한 재가자는 불교적 활동의 근거지를 사찰로 하며 불교신행에 바탕을 두어야 하며 실현 가능한 작은 것부터 실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앙종회 사무처장 성효스님은 토론문에서 “우리 종단의 현실은 사부대중이 함께하지 못하고 있다. 출가와 재가의 기능과 역할은 분리적이며 이분법적이지 않고 대동소이하게 되어야 한다.”며 발제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
윤남진 NGO리서치 소장은 “출,재가 역할 문제는 다른 어떤 문제보다 ‘교단 재구축’차원의 중대의제이다.”며 “출가의 역할이 먼저 중요하게 논의되지 않고서는 재가의 역할을 논하기 어렵다. 기존의 종단 구조에 고정시켜 놓지 말고, 차원을 달리하고 생각의 틀, 보는 틀을 달리해서 풀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앙에서는 플랫폼서비스 사업자 역할과 많은 사람들이 불교집안에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출,재가가 함께 <이타적 창업 투자은행> 설립과 사회법적 중재효력을 갖는 분쟁중재기구를 설치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조기룡 동국대학교 교수는 “발제문 요지에 원칙적으로 동의하지만, 지도자와 추종자의 구분이 필요하며 출가와 재가의 역할을 종교 신행의 관점과 불교 교단 경영의 관점으로 나누어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기룡 교수는 출가와 재가의 올바른 역할 분담을 위해서는 신행과 경영의 이원적 사고가 필요하며, 수행자로서의 출가 리더십을 주문했습니다. 또한 출가와 재가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출가자는 수행으로써 재가자의 삶의 모본으로 리더십을 확보하고, 재가자는 기복에서 탈피하여 책임의식을 갖고 교단 운영에 참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8월 대토론회’는 8월 31일(수)에는 ‘1,700년 불교문화, 어떻게 보전 활용할 것인가?’라는 주제 하에 유홍준 前 문화재청장의 발제로 진행된다.
|